본문 바로가기

서울의봄3

서울의 봄, 12월 14일 누적 관객 수 736만 돌파! 서울의 봄, 12월 14일 누적 관객 수 736만 돌파! 엊그제 초등학생 아이들을 데리고 '서울의 봄'을 한번 더 봤다. 문화가 가진 힘이 군사독재잔당의 추접함을 세상에 드러나고 있다. 특히, 2030 세대 젊은이들이 영화를 많이 본다고 한다. 꼭 천만 관객 수를 돌파해서 더 탄력을 받았으면 하는 마음에 영화관을 또 찾았다. 한 번 더 보니 이태식 장군(실제 장태완 소장/ 정우성 배우)이 피를 토하듯 대사 할 때 뜨거운 눈물이 흘렀다. 두 번 보기 강력 추천이다! 13일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는 '서울의 봄' 누적 관객 수를 발표했다. 약 736만이다!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자료를 보면 13일 오전 7시 기준, 개봉 21일 만에 누적 관객수가 736만 2641명이다. '한산: 용의 출현'(726만)을 제.. 2023. 12. 14.
'서울의 봄'을 뒷받침 하는 MBC 보도 영화 '서울의 봄'이 화제이다. '서울의 봄' 영화 내용을 실증하는 옛 자료를 MBC에서 보도한다. 영화를 보면서 분노했던 기억이 다시 일어난다. 녹취에 장태완 소장의 급박한 목소리가 가슴을 떨리게 만든다. 후.. 지금은 과연 어떨까.... 2023. 12. 5.
영화 '서울의 봄'을 보고, 영화 '서울의 봄'을 보고 씁쓸한 명작 영화를 봤다. 몹시 잘 만든 영화인데, 입맛이 쓰다. 영화 제목인 '서울의 봄'은 전두환 신군부의 12.12 쿠데타와 대척점에 서 있는 말이다. 감독은 왜 제목을 '서울의 봄'이라고 했을까? '서울의 봄'은 원래 1979년 10월 26일에서 1980년 5월 17일 사이에 일어난 민주화 운동 시기를 말한다. 10.26 사건으로 박정희가 사망한 직후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아 군 내부 사조직인 하나회를 중심으로 군부를 장악했다. 계급과 상관없이 '하나회'라고 불리는 사조직을 동원해 막강한 힘으로 정치적 실세가 되었다. 전두환이 중심이 된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정권을 사실상 장악했다. 이때 비상계엄에 저항한 광주시민들의 민주.. 2023. 11.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