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처중의 발문
동주는 별로 말주변도 사귐성도 없었건만 그의 방에는 언제나 친구들이 가득 차 있었다. 아모리 바쁜 일이 있더라도 "동주 있나" 하고 찾으면 하던 일을 모두 내던지고 빙그레 웃으며 반가히 마조앉아주는 것이었다.
"동주 좀 걸어보자구" 이렇게 산책을 청하면 싫다는 적이 없었다. 겨울이든 여름이든 밤이든 새벽이든 산이든 들이든 강가이든 아무런 때 아무 데를 끌어도 선듯 따라 나서는 것이었다. 그는 말이 없이 묵묵히 걸었고, 항상 그의 얼굴은 침울하였다. 가끔 그러다가 외마디 비통한 고함을 잘 질렀다.
"아─" 하고 나오는 외마디 소리! 그것은 언제나 친구들의 마음에 알지 못할 울분을 주었다.
"동주 돈 좀 있나" 옹색한 친구들은 곧잘 그의 넉넉지 못한 주머니를 노리었다. 그는 있고서 안 주는 법이 없었고 없으면 대신 외투든 시계든 내주고야 마음을 놓았다. 그래서 그의 외투나 시계는 친구들의 손을 거쳐서 전당포 나들이를 부지런히 하였다.
이런 동주는 친구들에게 굳이 거부하는 일이 두가지 있었다. 하나는 "동주 자네 시 여기를 좀 고치면 어떤가" 하는데 대하여 그는 응하여 주는 때가 없었다. 조용히 열흘이고 한 달이고 두 달이고, 곰곰히 생각하여서 한 편 시를 탄생시킨다. 그때까지는 누구에게도 그 시를 보이지를 않는다. 이미 보여주는 때는 흠이 없는 하나의 옥이다. 지나치게 그는 겸허온순하였건만, 자기의 시만은 양보하지를 안했다.
또 하나 그는 한 여성을 사랑하였다. 그러나 이 사랑을 그 여성에게도 친구들에게도 끝내 고백하지 않았다. 그 여성도 모르고 친구들도 모르는 사랑을 회답도 없고 돌아조지도 않는 사랑을 제 홀로 간직한 채 고민도 하면서 희망도 하면서...... 쑥스럽다 할까 어리석다 할까? 그러나 이제와 고쳐 생각하니 이는 하나의 여성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 이루어지지 않을 '또 다른 고향'에 대한 꿈이 아니었던가. 어쨌던 친구들에게 이것만은 힘써 감추었다.
그는 간도에서 나고 일본 후쿠오카에서 죽었다. 이역(異域)에서 나고 갔건만 무던히 조국을 사랑하고 우리말을 좋아 하더니 그는 나의 친구이기도 하려니와 그의 아잇적 동무 송몽규와 함께 '독립운동'의 죄명으로 2년형을 받아 감옥에 들어간 채 마침내 모진 악형에 쓰러지고 말았다. 그것은 몽규와 동주가 연전을 마치고 경도에 가서 대학생 노릇하던 중도의 일이었다.
"무슨 뜻인지 모르나 마지막 외마디 소리를 지르고 운명했지요. 짐작컨대 그 소리가 조선독립만세를 부르는 듯 느껴지더군요."
이 말은 동주의 최후를 감시하던 일본인 간수가 그의 시체를 찾으로 후쿠오카에 갔던 그 유족에게 전하여준 말이다. 그 비통한 외마디 소리! 일본 간수야 그 뜻을 알 리 없지만서도 저도 그 소리에 느낀 바 있었나 보다. 동주 감옥에서 외미다 소리로서 아주 가버리니 그 나이 스물아홉, 바로 해방되던 해다. 몽규도 그 며칠 뒤 따라 옥사(獄死)하니 그도 재사(才士)였느니라. 그들의 유골은 지금 간도에서 길이 잠들었고 이제 그 친구들의 손을 빌어 동주의 시는 한 책이 되어 길이 세상에 전하여지려 한다.
불러도 대답 없을 동주 몽규건만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 싶은 동주! 몽규!
-강처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을 쏘다_윤동주 (2) | 2024.10.05 |
---|---|
투르게네프의 언덕_윤동주 (1) | 2024.10.04 |
겨울_윤동주 (1) | 2024.10.02 |
조개껍질_윤동주 (1) | 2024.09.26 |
병아리_윤동주 (2) | 2024.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