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야기

교육목표 설정 01. 요구분석

by 마빡목사 2023. 11. 1.
728x90

교육목표 설정 01. 요구분석

요구분석이란?

  요구분석(need analysis) 또는 요구사정(need assessment)은 1960년대 중반에 등장한 이래로 지금까지 교육 분야에 꾸준히 적용하는 중요 개념이자 활동이다. 대부분 교수설계 모형은 교육 요구분석 활동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교육 요구분석을 통해 타당한 교육목표를 추출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요구분석은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문제는 현재 겉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감지된 것일 수도 있고,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여 곤란을 야기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장차 일어날 조짐을 보이는 것일 수도 있다. 요구분석은 불확실한 문제의 본질(원인)을 규명하는 게 우선이다. 이후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적절한 방안을 제안하려고 수행하는 활동이다. 메이거와 파이프(Mager & Pipe, 1984)는 실제 수행(현 상태)과 기대되는 수행(바람직한 상태) 간의 차이인 '수행 문제'(performance problem)'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수행 문제 = 실제 수행(현 상태 수행 수준) - 기대되는 수행(바람직한 상태 수준)

  메이거와 파이프(Mager & Pipe, 1984)는 다음과 같이 함축적으로 요구분석의 의의를 표현한다. 

"사람들이 행한 행동과 그들에게 기대된 행동 간의 차이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중략)... 문제의 본질을 가장 잘 분석한 사람이 그 문제에 대한 가장 성공적인 해결책을 처방할 수 있게 된다(Mager & Pipe, 1984)."

  요구분석을 수행하는 핵심 목적은 여러 가지 대안이 제시되었을 때, 대안들 중에서 합리적인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원을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 요구분석은 교육적인 의사결정, 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제약조건 등을 규명하고, 예상되는 문제를 관리하면서 합리적으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활동이다.

대표적인 요구분석 기법

  교육 요구분석을 할 때에는 상황이나 목적 등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 기법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목적에 맞게 가장 적합한 기법을 골라 쓰거나 여러 도구를 같이 사용할 때도 있듯이, 요구분석을 할 때도 분석 목적, 가용 시간, 인력, 예산, 기타 자원에 따라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분석 기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요구분석에 관한 선행 문헌들(허운나, 1993; McKillip, 1987; Ulschak, 1983)을 참조하여, 대표적인 교육 요구분석 기법과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원 명세서 조사

  교육 요구를 확인하려면 먼저 대상 학습자 집단이 보이는 특성과 그들에게 현재 어떤 유형의 교육이 가능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자원 명세서(Resource Inventory)'는 대상 학습자 집단이 받을 수 있는 교육을 총망라한 것이다. 자원 명세서를 작성할 때는 '누가, 누구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대상 집단이 받을 수 있는 교육 명세서뿐만 아니라,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의 성격, 교육 프로그램이 가용한 조건, 제공된 프로그램의 종류와 수용력에 관한 부차적인 정보를 수집한다.

  자원 명세서를 조사함으로써, 프로그램 간의 격차, 적게 사용되는 프로그램, 이미 많이 사용된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자원 명세서 그 자체가 요구를 확인해 주지는 않는다.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 현재 받을 수 없다는 사실이 곧 그 프로그램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자원 명세서는 단지 현 상태에 대한 지표와 해결 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할 뿐이다. 더 구체적으로 문제와 잠재 요구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추가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2) 사용분석

  사용 분석(Use Analysis)은 기존 프로그램이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정보는 유사 또는 새로운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된다. 맥킬립(McKillip, 1987)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사용에는 가용성(availability), 인식 수준(awareness), 수용 의지(acceptability), 접근의 용이성(accessibility)의 네 요인이 영향을 준다.

  • '가용성'이란 얼마나 많은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 '인식 수준'은 학습자가 그 요구를 인식하고 있는지 또는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가에 관한 것이다.
  • '수용 의지'는 필요하다면 이를 사용할 것인가이다.
  • '접근의 용이성'이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적절한가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사용과 요구 간의 관계는 훨씬 복잡하다. 프로그램으로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예: 대기자 명단, 100% 매진, 학생들로 꽉 찬 교실) 요구가 더 많다고 할 수 있지만, 이것을 근거로 바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두 집단의 특성이 비슷하다고 해서, 한 집단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만큼 다른 집단도 비슷한 사용률을 나타낸다고 기대할 수는 없다. 사용의 일반화를 정확히 알려면 현장 검증이 필요하다.

  사용 분석의 장점은 프로그램의 '이용'에 초점을 둔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사용 분석은 현상 그 자체에 대한 설명이므로 프로그램의 사용자를 조사한다고 해서 현재 프로그램의 미사용자에 대한 정보까지 얻지는 못한다. 미래의 사용까지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3) 설문 조사

  설문 조사(Survey)는 관심 집단의 작은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려는 목적으로 실시한다. 설문 조사는 응답의 다양성을 보려는 데에 초점이 있다. 하지만, 응답의 범위가 분명할 때는 대표성 표집보다는 하위 집단의 특성을 기준으로 한 목적성 표집이 좋다. 목적성 표집은 비용이나 시간을 고려하여 표집 되는 사람의 수가 한정될 때도 좋다. 설문조사에서 개방형 질문은 아이디어를 조사하고 만들어 내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다. 개방형 질문은 응답자가 자신의 용어나 범주를 자유롭게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지만, 분석하기 전에 자유 응답을 분석과 요약이 가능하도록 몇 가지 범주로 부호화할 필요가 있다.

(4) 구조화된 집단

  구조화된 집단은 초점 집단(Focus Group), 명목 집단(Nominal Group), 델파이 패널(Delphai panel)이 대표적이다.

  초점 집단을 이용한 요구분석은 주로 마케팅 분야에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알아볼 때 이용되는 방법이다. 또는 제안된 해결책을 소비자가 수용하는 정도나 접근가능성을 탐색하거나, 사회적 지표 분석이나 이용 분석으로 나온 가정을 검증하는 데 이용하기도 한다. 초점 집단은 요구에 관한 대상 집단의 관점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조사, 특히 개방적인 면담과 유사하다. 참여자를 집단화하는 것은 개별 면담보다 훨씬 더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명목 집단은 소집단 회의에서 종종 발생하는 집단 역학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방안으로 제시된다. 주로 고객, 주요 정보 제공자, 시민, 서비스 제공자가 문제를 확인하거나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모일 수 있다. 명목 집단은 요구분석을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도 있고, 정규적인 임원들의 모임에 참석한 사람들이 될 수도 있다.

  델파이 패널은 각 사안에 관련된 경력을 가진 사람들이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익명으로 서로 합의에 이르거나 해결책을 구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델파이 조사 과정에서 나온 단계별 피드백을 응답자들에게 제공해서 중간에 자신의 의견을 수정할 기회도 준다. 델파이 패널은 응답자들이 원격지에 흩어져 있더라도 융통성 있게 참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밖에 관찰도 많이 쓰인다. 관찰은 실제 수행정도를 알아보고자 할 때 이용한다. 관찰은 융통성이 있으며, 말보다 훨씬 깊은 정보를 제공하고, 부가적인 관찰이나 교육 요구분석을 위한 다른 기법의 사용을 유도하기도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