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문맹4

08 제1금융권이냐 제2금융권이냐 08 제1금융권이냐 제2금융권이냐  금융회사란 저축, 투자, 신용, 대출, 보험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 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기관, 여신전문금융회사, 증권회사, 보험회사, 자산운용회사 등이 있다. 최근 들어 자금 중개기관 역할보다는 수익 사업에 주력하는 금융 산업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면서 금융기관보다는 금융회사라고 부른다. 금융회사는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으로 나뉜다. 이 말은 언론에서 보도 편의상 붙인 말인데, 점점 사람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면서 지금은 금융 용어로 통용된다.제1금융권  제1금융권은 중앙은행과 예금은행으로 구분한다. 예금은행은 시중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 기업은행, 농협(특수은행)을 포함한다. 제1금융권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해서 규모가 크고 안정성이 높다. 예.. 2024. 5. 7.
06 금리 이해하기 06 금리 이해하기 금리란? 금리는 일정 기간에 발생한 이자를 원금으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 '이자율'이 같은 말이다. 이자는 돈을 빌린 사람이 돈을 비려준 사람에게 지불하는 '사용료'이다. 일정 기간에 돈을 빌려 쓴 '비용'이다. 돈을 빌려주는 사람은 지금 소비하고 싶은 욕구를 참은 대가로 이자를 받는다. 금리는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이자 부담'을 주고,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수익'을 안긴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지 않는 금리이다.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금리이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값이다. 물가가 오르면 같은 값으로 살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의 양이 줄어들어 실질금리는 떨어진다. 물가상승률이 명목금리보다 높이 지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가 된.. 2024. 4. 14.
04 기초 금융 이해력 테스트 "금융에 대한 이해" 04 기초 금융 이해력 테스트 "금융에 대한 이해" 나는 금융문맹일까? 아닐까? 테스트를 통해 기초 금융 이해력을 점검해 보자. 아래 문제는 금융감독원에서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 이해력을 알아보려고 OECD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만든 것이다. 총 세 가지 범주이다. 첫째는 돈에 대한 행동과 인식, 둘째는 돈에 관한 태도, 셋째는 금융에 대한 이해정도이다. 이번 포스팅은 셋째, '금융에 대한 이해정도'를 점검해 보자. 셋째, 금용에 대한 이해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문제 정담은 문제를 모두 푼 뒤에 확인할 수 있게 뒤에다 배치했다. 문제 1. 다섯 형제가 함께 일해서 총 1,000만 원을 벌었다. 형제들이 똑같이 돈을 나누면 한 사람 당 받게 되는 돈은 얼마인가?답: _________원문제 2. 물가상.. 2024. 4. 6.
01 금융문맹은 문맹보다 더 무섭다! 01 금융문맹은 문맹보다 더 무섭다! 문맹은 생활을 불편하게 하지만, 금융문맹은 생존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문맹보다 더 무섭다. - 앨런 그린스펀(Alan Greenspan, 1987~2006 미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금융, 얼마나 알고 있나? 우리는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사회를 살고 있다. 금융은 신용을 바탕으로 자금을 빌려주고 빌려 쓰는 거래를 뜻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기와 같은 것이 금융이다. 우리가 살아 숨 쉬려면 공기가 항상 흘러야 하듯 자본주의 사회체제를 유지하려면, '돈의 흐름'인 금융은 없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우리는 금융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 한국인의 금융 이해력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 푸어스(S&P)에서 발표한 '세계 금융 이해력 조사'를 보면, 한국 사람의 금융.. 2024. 3.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