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리터러시20 24 투자의 삼 원칙: 수익성, 안전성, 유동성 24 투자의 삼 원칙: 수익성, 안전성, 유동성 투자는 돈을 버는 수단이다. 돈 벌기는 쉽지 않다. 곳곳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서다. 남이 위험에 처한 것은 잘 볼 수 있지만, 직접 투자할 때는 위험 요소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사람은 누구나 인지편향이 있어서 자기가 하는 일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투자에 성공하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이 있다. 직관적인 판단을 멀리하고, 검증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근거해서 판단한다는 점이다. 일단, 어떤 정보를 원칙으로 삼아야 할까?수익성 수익성은 높은 이자수익이나 가격 상승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한다. 쉽게 말해, 돈을 얼마나 벌 수 있는 지를 나타나는 지표다.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수익률이 높은 금융 상품을 .. 2024. 6. 14. 22 종잣돈을 모으려면 빨리 시작하라! 22 종잣돈을 모으려면 빨리 시작하라! 재테크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종잣돈을 모으는 것이다. 종잣돈이 있어야 자금을 활용해서 돈을 굴릴 수 있다. 그렇게 해야 근로소득 이외에 금융소득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잣돈 모으기는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빨리 시작할수록 돈을 모으는 속도도 빨라진다.최대로 모아라! 수입 관리 계좌에서 한 달 쓰고 남은 돈을 종잣돈으로 저축하라는 말이 아니다. 종잣돈 만들 돈을 미리 떼어 놓아야 한다. 직장 생활을 오래 했는데도 잔고가 늘 바닥인 사람은 쓸 것을 다 쓴 다음에 남은 돈으로 저축하려고 해서 제대로 된 재테크를 할 수 없었던 거다. 종잣돈은 비상 자금과 다르게 먼 미래를 준비하는 돈이다. 수입의 최소 30%는 종잣돈으로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자. 수입이 얼마 되지도 .. 2024. 6. 12. 21 자산 관리를 하려면 통장 쪼개기! 21 자산 관리를 하려면 통장 쪼개기부터! '멘탈 어카운팅(Mental accounting)'은 '심리적 회계' 또는 '심리 계좌'라고 한다. 행동경제학에서 주로 사용한다. 수입을 서로 다른 마음속 계좌에 넣어 두고 사용하려는 심리적 현상을 뜻한다.카너먼과 트버스키의 실험Q1. 콘서트장에서 5만 원짜리 티켓을 사려다 현금 5만 원을 잃어버린 사실을 알았다. 그래도 그 자리에서 5만 원을 지불하고 콘서트 티켓을 살 것인가? 이 질문에 88% 사람들이 "네"라고 답했다.Q2. 5만 원을 주고 예매했던 티켓을 가지고 콘서트장에 갔는데, 그 티켓을 잃어버린 사실을 알았다. 그래도 현장에서 다시 5만 원을 주고 티켓을 살 것인가?이 질문에는 앞의 절반 정도인 46%만이 "네"라고 답했다. 둘 다 5만 원의 가치를.. 2024. 5. 28. 20 먼저 저축하고 남은 돈 쓰기 20 먼저 저축하고 남은 돈 쓰기 쓰고 남은 돈으로 저축하자고 생각하면 저축할 돈을 만들지 못한다. 당상 쓸 돈은 항상 모자라다. 저축하는 비결은 단 한 가지뿐이다. 저축을 먼저 하고, 남은 돈을 쓰는 것이다. 저축으로 목돈을 모아야 한다. 비상 자금도 만들어야 한다. 저축은 재테크 수단이라고 할 수 없지만, 개인의 풍요로운 미래를 보장하는 준비 과정이자 미래 소비의 준비금이다. 똑똑하게 저축하려면 올바른 저축 상품을 선택하자. 저축을 하는 목적을 깊이 생각해야 한다. 그다음은 현금 흐름이나 재무 상태를 고려한다. 저축하는 목적을 생각하자 저축 상품에는 특정한 용도로 만들어진 상품이 있고, 특별한 용도 없이 여윳돈을 넣어 두기 위한 상품도 있다. 특정 용도에는 내 집 마련, 노후 준비 등이 있다. 돈을.. 2024. 5. 27.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